반응형
요약
- 만 6~18세: 분기별 6만 원(연 24만 원) 한도로 수도권 대중교통 사용액 환급
→ 지역화폐 중심 지급. 신청은 경기도 어린이·청소년 교통비 지원 포털에서 1회 신청 후 분기 자동 환급. - 만 19세 이상 경기도민: K-패스 가입 후 자동으로 The 경기패스 추가 혜택 적용.
월 15회 이상 이용 시 20~53% 환급, *경기 청년(19~39세)*은 30%. K-패스는 월 60회 한도,
The 경기패스는 이용 횟수 무제한 적용.
1) 누가 무엇을 받나? (대상·혜택 한눈에)
구분 | 대상 | 핵심 혜택 | 이용/횟수 기준 | 지급 방식 |
지역화폐 환급 (어린이·청소년) |
경기도 6~18세 |
분기 6만 원, 연 24만 원 한도 환급 |
수도권 버스·지하철·GTX 등 사용액 기준 | 지역화폐 중심 (’25년 1분기부터 지역화폐로만 지급 고지) |
K-패스(국가) | 전국 | 일반 20% / 청년 30% / 저소득 53% 환급 |
월 15회 이상, 최대 60회 인정(일 2회 적립 한도) | 카드사 청구할인/계좌환급/마일리지 등 |
The 경기패스 (경기도 추가혜택) |
경기도 거주 19세 이상 K-패스 가입자 |
20~53% 환급, 청년(19~39세) 30% |
월 15회 이상, 이용 횟수 무제한 |
K-패스 등록 시 자동 적용 |
※ K-패스 ‘청년’ 기준은 만 19~34세, **The 경기패스 ‘청년’**은 만 19~39세로 더 넓습니다.
2) 지역화폐 환급(6~18세) 디테일
- 지원 범위: 수도권 대중교통(경기·서울·인천 버스, 지하철, 신분당선·광역버스·GTX 등) 별도 발권 교통수단(KTX·SRT 등) 제외.
- 지원 금액: 분기 6만 원, 연 24만 원 상한. 1회 신청 후 분기 자동 환급.
- 지급 방식: 2025년 1분기부터 지역화폐로만 지급 고지(현장 운영 공지).
- 신청 경로: **경기도 어린이·청소년 교통비 지원 포털(경기교통공사 운영)**에서 본인/대리 신청
3) K-패스 vs The 경기패스(19세 이상) 핵심 차이
공통
-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다음 달 환급. 전국 어디서 이용해도 적용(거주지 외 지역도 혜택).
차이
- 이용 횟수 한도: K-패스는 월 최대 60회 인정, The 경기패스는 무제한.
- 청년 연령: K-패스 19~34세, The 경기패스 19~39세.
- 혜택 적용 방법: K-패스 카드 발급/등록하면 경기도민은 별도 신청 없이 The 경기패스 자동 추가혜택. (기존 알뜰교통카드 회원은 전환).
- 지급 방식(카드 종류별): 신용카드 청구할인, 체크카드 계좌환급, 교통카드 마일리지.
4) 신청·이용 절차 (빠르게 따라하기)
A. 만 6~18세(학부모 대리 가능)
- 포털 접속 → 2) 대상자·교통카드 등록 → 3) 지역화폐(만 14세 이상 본인 명의 권장) 지정 → 4) 분기 자동 환급 확인.
B. 만 19세 이상 경기도민
- K-패스 카드 발급·등록(신용/체크/선불·모바일) → 2) 월 15회 이상 이용 → 3) 다음 달 환급(경기도민은 The 경기패스 추가 적용).
5)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서울·부산 등 타 지역에서 쓴 교통비도 환급되나요?
A. 가능합니다. K-패스는 거주지 외 전국 어디에서 이용해도 환급 혜택 적용됩니다.
Q2. K-패스 월 이용 횟수 계산은 어떻게 되나요?
A. 월 15회 이상 충족 시 환급 대상이고, 월 최대 60회까지만 적립(일 2회 적립 한도 규칙). 첫 달은 15회 미만도 지급되나, 이후엔 15회 미만 시 미지급.
Q3. The 경기패스는 왜 ‘무제한’인가요?
A. 경기도는 K-패스 상한(60회) 없이 이용 횟수 제한을 없앤 추가 혜택을 제공합니다. (월 15회 기준은 동일)
Q4. 어린이·청소년 환급은 모두 지역화폐로 받나요?
A. ’25년 1분기부터 지역화폐로만 지급 안내가 공지되었습니다. 자세한 지급 수단은 포털 공지 확인.
반응형